Front-end/JS
[Web/JS] 자바스크립트 - 연산자
poopooreum
2024. 5. 8. 21:00
반응형
✏️ 산술 연산자
종류 | 설명 | 예시 |
+ | 두 피연산자의 값을 더함 | c=a+b |
- | 첫 번째 피연산자의 값에서 두 번째 피연산자의 값을 뺌 | c=a-b |
* | 두 피연산자의 곱을 구함 | c=a*b |
/ | 첫 번째 피연산자 값을 두 번째 피연산자 값으로 나눔 | c=a/b |
% | 첫 번째 피연산자 값을 두 번째 피연산자 값으로 나눈 나머지를 구함 | c=a%b |
++ | 피연산자를 1 증가시킴 | a++ |
-- | 피연산자를 1 감소시킴 | b-- |
✏️ 할당 연산자
종류 | 설명 | 예시 |
= | 연산자 오른쪽의 값을 왼쪽 변수에 할당 | y = x + 3 |
+= | y = y + x를 의미 | y += x |
-= | y = y - x를 의미 | y -= x |
*= | y = y * x를 의미 | y *= x |
/= | y = y / x를 의미 | y /= x |
%= | y = y % x를 의미 | y %= x |
✏️ 연결 연산자
연결 연산자는 둘 이상의 문자열을 합쳐서 하나의 문자열로 만드는 연산자로 '+' 기호를 사용
<script>
document.write(birth + "년에 태어난 사람의 나이는" + age+"살입니다");
</script>
✏️ 비교 연산자
종류 | 설명 | 예시 | |
조건식 | 결괏값 | ||
== | 피연산자가 서로 같으면 true | 3 == “3” | true |
=== | 피연산자도 같고 자료형도 같으면 true | a === "3" | false |
!= | 피연산자가 서로 다르면 true | 3 != "3" | false |
!== | 피연산자가 같지 않거나 자료형이 다르면 true | 3 !== "3" | true |
< | 왼쪽 피연산자 오른쪽 피연산자보다 작으면 true | 3 < 4 | true |
<= | 왼쪽 피연산자 오른쪽 피연산자보다 작거나 같으면 true | 3 <= 4 | true |
> | 왼쪽 피연산자 오른쪽 피연산자보다 크면 true | 3 > 4 | false |
>= | 왼쪽 피연산자 오른쪽 피연산자보다 크거나 같으면 true | 3 >= 4 | false |
✏️ 논리 연산자
종류 | 기호 | 설명 |
OR 연산자 | || | 피연산자 중 하나만 true여도 true |
AND 연산자 | && | 피연산자가 모두 true일 경우에만 true |
NOT 연산자 | ! | 피연산자의 반댓값 사용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