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프링 부트(Kotlin)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과정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사실 이전에도 FastAPI와 스프링 부트(Java) 프로젝트의 배포 과정을 다룬 적이 있었는데요.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제가 서버 배포를 직접 담당하게 되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방식이 조금 잘못되었음을 깨닫게 되었고, 이를 바로잡아 다시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기존에 작성한 관련 글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pooreumjung.tistory.com/537 [FastAPI/Pyhton] - FastAPI Github Actions 자동 배포하기 #1최근 해커톤에서 AI 기술을 활용해야 하는 상황이 있어, FastAPI 환경을 구축하고 직접 배포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Sp..

✏️ 프로젝트 배경 및 초반 구조최근 같은 학과 사람들과 함께 Spring Boot + DDD 기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초기에는 각 도메인별로 패키지를 나누고, 그 안에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DTO, Entity 등을 구성하는 전형적인 레이어드 아키텍처로 시작했습니다. 아래는 당시의 디렉터리 구조입니다├── 📂 common ← 공통 설정/예외/응답 등│ ├── 📂 base│ ├── 📂 config│ ├── 📂 exception│ ├── 📂 jwt│ ├── 📂 response│ └── 📂 status│└── 📂 domain ← 비즈니스 영역 중심 ├── 📂 appli..

✏️ 들어가며Spring Boot로 웹 개발을 시작하면 처음에는 모든 것이 잘 작동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습니다.특히 컨트롤러에서 @GetMapping 하나만 달아도 화면에 원하는 데이터를 반환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금 더 깊이 들어가면 "대체 이 요청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흐르는 거지?", "Spring은 어떤 순서로 내 코드를 실행하는 거지?라는 궁금증이 생깁니다. 이번 글에서는 Spring MVC의 핵심인 DispatcherServlet 중심의 요청 처리 흐름을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 Spring MVC란?MVC는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이며, 각 레이어간 기능을 구분하는데 중점을 둔 디자인 패턴입니다.Model은 데이터 관리 및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부분이..

✏️ 들어가며최근 프로젝트에서 데이터를 조회하던 중, 팀원으로부터 “이거 N+1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요”라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사실 N+1 문제는 이전부터 익숙한 주제였고, 면접 준비할 때도 공부했던 부분이지만… 막상 실제 상황에서는 바로 캐치하지 못했던 것이죠. 😅 이번 기회에 다시 한 번 개념을 정리하고, 실제 코드에서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기록해두려 합니다. 이 글은 미래의 저를 위한 기억 보조장치이자, 같은 고민을 하는 분들께도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N+1 문제란?JPA에서 특정 엔티티를 조회한 뒤, 그 연관된 엔티티들을 지연 로딩(LAZY)할 때 발생하는 문제입니다.예를 들어, 회원(Member) 엔티티가 팀(Team)과 연관되어 있고 LA..
- Total
- Today
- Yesterday
- BFS
- 백준 풀이
- 유니온 파인드
- CSS
- html
- DP
- 자바스크립트
- 반복문
- 알고리즘 공부
- js
- HTML5
- 이분 매칭
- 유클리드 호제법
- DFS
- 자바
- Do it!
- c++ string
- 백준
- java
- C++
- 스프링 부트 crud 게시판 구현
- 자료구조
- 스택
- 투 포인터
- 우선순위 큐
- 카운팅 정렬
- 알고리즘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C++ Stack
- 세그먼트 트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