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k7qc4/btsoCjIlqbk/Wa41Yjom9lHILdBsz62ynk/img.jpg)
iterator란?? iterator는 반복자로써 C++에서 제공하는 라이브러리읻니다. 쉽게 생각하면 C에서 사용하는 포인터와 역할이 비슷하고 좀 더 자세히 말하면 배열의 요소들을 가리키는 포인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복자의 종류 입력 반복자(input iterator) => 읽기만 가능하여, 순방향으로 이동하고 한 번에 한 개의 원소만 읽을 수 있습니다. 출력 반복자(output iterator) => 쓰기만 가능하며, 순방향으로 이동하고 한 번에 한 개의 원소만 쓸 수 있습니다. 순방향 반복자(forward iterator) => 읽기와 쓰기 모두 가능하며, 순방향 이동이 가능하고 재할당이 가능한 반복자입니다. 양방향 반복자(bidirectional iterator) => 읽기 쓰기 모두 가능하며,..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kPl2I/btsox9sYozF/AdaxBqSV0RHJqRvTzErQWk/img.jpg)
Stack이란?? FILO(First In Last Out)구조를 지니고 있는 자료구조입니다. 먼저 들어온 원소가 가장 나중에 나가는 형식입니다. 흔히 레고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 같습니다. 그리고 0개 이상의 요소를 가지는 선형 리스트의 일종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Stack 사용법 stack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라는 헤더파일을 불러와야 합니다. 선언하는 방법은 stack변수명입니다. stacks Stack의 기본 함수 s.push(x) => 스택에 원소를 추가합니다. s.pop() => 가장 마지막에 넣은 원소를 삭제합니다. s.top() => 가장 먼저 넣은 원소를 반환합니다. s.size() => 스택의 원소 개수를 반환합니다. s.empty() => 스택이 비어 있으면 true를, 비어..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QMof8/btsoxFEFTvG/aKotbBwN5go5kQZ3aoBdJk/img.jpg)
Queue란?? 큐는 자료구조로써 FIFO(First In First Out)선입선출 구조를 사용합니다.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나가는 방식입니다. Queue의 구조 queue의 구조는 간단합니다. push()함수를 통하여 원소를 삽입하고 pop()함수를 통하며 가장 앞에 있는 원소를 삭제합니다. front()함수를 통하여 가장 앞에 있는 원소에 접근하고 back()함수를 통해 가장 뒤에 있는 원소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Queue 사용법 queu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라는 헤더파일을 불러와야 합니다. 그 후 queue변수명을 선언하시면 queu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ex) queueq Queue의 기본 함수 q.push(x) => q의 맨 뒤에 x를 삽입합니다. q.pop() => q의 맨 앞의..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pEtX6/btsogffsG7M/b55hdvVC3VkucwHekkWJV1/img.jpg)
Set이란?? set은 key라고 불리는 원소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컨테이너입니다. set안에 들어가는 key값들은 중복될 수 없으며 자동으로 정렬이 됩니다. set의 구조는 이진균형트리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원소의 삽입, 삭제, 검색의 시간복잡도가 O(logN)이 듭니다. 마지막으로 메모리는 동적할당이 됩니다. Set의 사용법? 가장 먼저 set이라는 헤더파일을 불러와야 합니다. set변수를 선언할 때는 set변수 => sets Set의 멤버함수 s.begin() => 첫 번째 원소의 반복자를 반환합니다. s.end() => 마지막 원소의 다음 반복자를 반환합니다. s.empty() => set이 비어있으면 true를, 비어있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s.clear() => set의 모든 원소들..
- Total
- Today
- Yesterday
- DFS
- 우선순위 큐
- html
- CSS
- 알고리즘 공부
- 스프링 부트 crud 게시판 구현
- 유클리드 호제법
- 이분 매칭
- 자바스크립트
- 스택
- C++ Stack
- 반복문
- 세그먼트 트리
- 백준 풀이
- 자료구조
- DP
- BFS
- 알고리즘
- js
- 백준
- 투 포인터
- C++
- Do it!
- HTML5
- 카운팅 정렬
- java
- c++ string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자바
- 유니온 파인드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